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2025년 여름,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면서 온열질환으로 인한 응급 상황이 급증하고 있습니다. 단순히 더운 걸 참는 것이 아닌, 신체 기능이 무너질 수 있는 위험한 상황. 이 글에서는 폭염 시 흔히 발생하는 열탈진과 열사병의 차이, 증상, 예방법, 그리고 응급처치 요령까지 실제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안내합니다.
1. 폭염이 가져오는 온열질환, 왜 위험할까?
폭염은 단순한 날씨 현상이 아닙니다.
기온이 33도 이상 오랜 시간 지속되면 체내 체온조절 기능이 무너지면서 열탈진, 열사병, 열경련 등의 온열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특히 어린이, 노약자, 심혈관질환자 등은 고위험군에 해당하며, 한 번의 방심이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.
2. 열탈진과 열사병, 어떻게 다를까?
구분열탈진 (Heat Exhaustion)열사병 (Heat Stroke)
증상 | 어지럼증, 두통, 메스꺼움, 식은땀, 근육경련 | 의식 혼미, 고열(40도↑), 경련, 의식소실 |
피부상태 | 축축하고 차가움 | 건조하고 뜨겁고 붉음 |
위험도 | 중등도 | 응급상황, 즉시 119 연락 필수 |
열탈진은 빠른 대처로 회복 가능하지만, 열사병은 단시간 내 체온이 40도 이상 상승하면서 뇌, 신장 등 주요 장기에 치명적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.
3. 폭염 속 온열질환 예방 수칙
① 수분 자주 섭취
-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20~30분 간격으로 물을 마셔야 합니다.
- 카페인 음료나 알코올은 탈수를 유발할 수 있으니 피하세요.
② 외출은 오전 11시~오후 4시 사이 피하기
- 폭염 경보 시 실내 생활 권장
- 부득이한 경우 양산, 모자, 통풍 잘되는 옷 착용 필수
③ 실내 적정 온도 유지
- 에어컨 26~28℃ 권장
- 하루 2~3회 환기, 습도는 50% 내외 유지
④ 고령자 및 어린이는 보호자 동반
- 특히 홀로 있는 어르신은 수시로 건강 확인
- 냉방기기 접근이 어려운 이웃 돌봄 권장
4. 온열질환이 의심될 때 응급처치 방법
열탈진 증상 시
- 시원한 그늘로 이동
- 옷을 느슨하게 풀고 물수건 등으로 몸 식히기
- 생수 제공, 단 의식 흐림이 있을 경우 금지
열사병 의심 시
- 즉시 119 신고
- 얼음주머니, 젖은 수건 등으로 뇌 주변 집중 냉각
- 의식 잃었을 경우 무리한 물 공급은 금물
- 병원 도착 전까지 계속 체온 하강 유지
5. 이런 환경일수록 더욱 주의하세요
- 야외 작업자, 택배·건설·농사 현장 근무자
- 실내 냉방이 어려운 주거 환경
- 운동 중인 청소년
- 밀폐된 차량 내 방치되는 유아
특히 실외작업 현장에서는 무더위쉼터 확보, 1시간 작업 후 15분 휴식이 제도화되어야 합니다.
마무리하며
폭염은 더 이상 견디는 것이 아닌 피해를 예방해야 하는 재난 수준의 기후현상입니다.
온열질환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지만, 충분한 사전 지식과 대비만 있다면 충분히 막을 수 있습니다.
지금 이 순간에도 지치고 있을 누군가를 위해, 이 정보를 주변에도 꼭 알려주세요.
건강하게 이 여름을 보내기 위해서는 몸의 신호를 놓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한 예방입니다.
반응형
'요즘 이야기 ne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바우처 총정리 (0) | 2025.07.07 |
---|---|
365 안심병동 완전정복|혜택·병원현황·이용요금 한눈에 (2) | 2025.07.07 |
냉방병 증상 치료법 총정리|22~26℃ 실내 온도 유지 팁 (1) | 2025.07.07 |
병원동행매니저 자격증 취득방법: 2025년 최신 가이드 (3) | 2025.07.06 |
자동가입이지만 모르면 손해! 경기도 기후보험 꼭 챙기세요 (0) | 2025.07.06 |